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삼성그룹 투자 전략 발표
    카테고리 없음 2021. 10. 12. 20:22
    728x90
    반응형

    삼성그룹 투자 계획 발표(2021년 9월)

     

     1. 삼성그룹의 전략사업 확대를 위한 투자를 240조원 집행하기로 함. 삼성전자는 이중에서 210~220조원이 투자되며, 반도체 부분에만 190~200조원이 투자될 예정. Capex 증가에만 110~120조원이 사용되고, 연구개발에 40조원, 기타 인수합병등에 40조원 정도가 사용될 예정. 나머지 투자는 디스플레이에 20~25조원 바이오에 10~15조원이 투자될 예정.

     

     

    2. 반도체 부분

     

    - 디램은 1anm 공정에서 EUV 공정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예정. 단위당 필요한 EUV 장비가 증가할 예정. 1znm 에서는 1개의 레이어에 적용되고, 웨이퍼 10만장당 2대가 필요한 상황. 1anm 공정은 5개 레이러에 EUV가 필요하고 웨이퍼 10만장당 9대가 필 요함. 내년 연말까지 약 11대가 추가 필요할 전망. SK하이닉스는 1anm에 1~2개의 EUV레이어 도입 예정. 마이크로는 EUV없이 1anm 생산 예정. 따라서 디램에만 3년간 약 30조원 가까운 자금이 사용될 전망. DDR5 생산시 기존 DDR4대비 생산량이 줄어 들기 때문에 생산량 유지를 위해서는 추가 증설 필요.

     

    - 낸드부분에서는 200단 이상 V-NAND를 조기 적용할 예정. 평택 3공장 완공이 21년 4분기정도로 예상되며 이를 기점으로 3년간 약 30조원이 투자될 예정. 200단 이상 혹은 176단 생산을 위한 장비발주가 21년 4분기부터 시작될 전망. - 파운드리에서는 신규 고객확보를 통해서 모바일에서 HPC로 사업영역 확대 예정. 현 재 삼성전자는 자사 AP와 퀄컴, 엔비디아, IBM 등을 고객사로 하고 있음. 최근 파운 드리 비용이 크게 증가해서 신규 팹리스 들의 진입이 어렵기 때문에, 삼성전자는 단 순히 수주를 받는 것을 넘어서서 신규 팹리스 기업이 모험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만 큼의 파운드리 역량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함.

     

    - 다른 부분보다 파운드리 부분에 있어서 많은 금액이 할당될 예정. 파운드리만 3년간 40조원의 투자가 예상되며, 이는 5나노 공정 한라인의 스타트 코스트가 150억 달러 로 증가하기 때문에 투자금액 증가에도 생산능력을 극적으로 끌어오리는 것에는 한 계가 있음.

     

    - 23년 하반기 북미지역 파운드리가 가동된다면, 북미 팹리스를 상대로 5nm 이하 기반 의 칩을 수주할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

     

    3. 디스플레이부분

     

    - 22년 상반기까지 중소형 OLED 디스플레이 투자가 있을 전망. 이는 기존 6세대 디스 플레이 공정 투자로 극적인 생산량 증가 보다는 월 6만장 수준의 생산능력 확대.

     

    - 22년 하반기에는 8세대 중소형 OLED 투자 진행 전망. 현재 8세대 기술들이 연구되 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높은 수준의 생산능력 확보 전망.

     

    - 6세대에서는 13인치 노트북 패널을 40개 생산하지만 8세대 부터는 90개~100개 생산 이 가능하기 때문에 OLED 적용처가 휴대폰에서 노트북이나 태블릿으로 넘어가는 시 기에 다음세대 투자를 통해서 수익성 확보 노력. - 이와 동시에 내년 하반기부터 파일럿라인이 아닌 QD OLED 양산라인에 본격적인 투 자 전망. 향후 수율이 안정화되면 추가 투자가 있겠지만, 없다면 QNED 라인으로 바 로 넘어갈 가능성도 높음. QNED는 잉크젯 증착과 무기물 소재라는 점에서 QD OLED 보다는 기술 난이도가 높지만, 상업화했을 때 더 많은 파급력을 가질 전망.

     

    4. 바이오산업 투자

     

    - 4공장이 완공되는 23년 말에는 62만리터로 글로벌 최대 CMO회사가 될 전망. FDA/EMA 누적 승인 건수가 증가하면서 CMO 업체로서의 생산능력이 검증되고 있음. - 현재 완공된 1캠퍼스의 경우에는 항체치료제 위주의 CMO 사업을 진행 중이나, 향후 진행될 2캠퍼스의 경우에는 ADC나 CAR-T, RNA 등의 차세대 치료제 공장으로 구축 될 전망.

     

    - 2캠퍼스는 4공장 부분가동 시점인 22년에서 완전가동 23년 하반기 사이에 발표될 것 으로 전망. 차세대 치료제 역량은 모더나 mRNA 백신 생산을 통해서도 획득할 수 있 을 것으로 전망되며, 내년 상반기 원료 공장 완공예정.

    https://youtu.be/8JKyxuonMOM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