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11223 오늘의주식공부
    일일공부 2021. 12. 23. 13:19
    728x90
    반응형

    본 자료는 투자권유 목적으로 제작된 자료가 아니며, 제작자 소속회사의 의견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으로 투자의사결정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 하에 결정되어야 합니다. 본 자료의 제작자는 본 영상의 내용과 관련하여 선행매매금지, 미공개중요정보 이용금지, 불공정거래(시세조종, 부정거래행위, 시장질서교란행위, 단기매매차익거래) 금지 등 자본시장법을 포함한 금융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1.    #SK디앤디 : #SK디스커버리 SK가스가 보유한 SK디앤디읜 주식을 전량 매입함. 이번 딜을 통해서 SK디스커버리 그룹은 SK디앤디, SK케미칼, SK가스의 시너지 기대. SK디앤디는 수소를 제외한 그룹 부동산 사업과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담당할 전망. 동시에 공정거래법상 손자회사는 투자회사 지분 100%취득 혹은 비계열사 지분 30%만 취득 제약이 해소되어 다양한 사업에 투자 가능해짐. 특히 신재생 프로젝트에 30%의 지분만 투자가능하던 제약이 해소되어 적극적으로 투자 전망.

     

    2.    #그린플러스 : 자회사 그린피시팜이 코로나로 인해서 외식 시장 위축 영향을 많이 받음. 장어 특성상 내식보다는 외식 위주로 매출이 많기 때문. 최근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서 150억 조달. 조달 자금은 첨단 수직농장 구축에 활용. 올해말 착공하여 내년 7월 완공 이후 연간 매출 150억원 규모의 작물 재배에 활용. 그간에는 스마트 농장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것에 그쳤지만 이제부터는 직접 재배 및 유통 분야로 사업범위가 확대되고 있음. 향후 시공, 재배, 유통 으로 수직 계열화하여 소규모인 농업 분야에서 대규모 플랜트 형식으로 발전 전망.

     

    3.    #아이엘사이언스 : 실리콘렌즈 기반의 LED솔루션 사업과 헤어케어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 4분기부터 대형 건설사로 LED 관련 수주가 증가하고 있음. 4분기에만 건설사로 200억원의 수주에 성공했으며, 올해 전체 매출이 500억원대 임을 감안하면 큰 규모. 자동차향 LED솔루션에서는 하이비젼시스템과 퓨런티어로 자율주행차용 센싱카메라 공정장비에서 UV글라스를 실리콘렌즈로 대체하는 MOU체결. 동시에 현대모비스로 멀티빔 해드램프의 실리콘 렌즈 테스트 및 단가 협상이 마무리 단계로 들어감. 빠르면 내년 1분기부터 자동차로 매출 이진행될 전망. JW홀딩승와 폴리니크 헤어케어 제품 글로벌 공급 계약이 체결 예상됨. 체결되면 1분기 부터 일본과 유럽, 중동으로 수출 전망. 최근 190만주 CB물량이 전환되어 물량부담은 해소됨.

     

    4.    #맥스트 : 주력사업은 공장내 공정 데이터 기반으로 스마트팩토리에 사용되는 작업관리시스템을 제작하여 납품. 매출의 70% 이상이 여기서 나옴. 성장동력은 AR플랫폼 사업으로 AR개발 플랫폼은 앱다운로드 수에 따라 라이선스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AR공간 플랫폼 사업을 현재 시범기간이며, 내년에는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 전망. 현재 실내 XR 공간 지도 사업을 시범사업 중에 있고, 메타버스내 XR 공간 임대 사업은 메타버스내에서 광고등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사업. 22년 상반기를 목표로 자율주행이나, 로봇 등으로 사업영역 확장 예정.

     

    5.    #SK하이닉스 : 중국시장감독총국이 인텔의 낸드 사업부 인수에 대해서 조건부로 승인함. 인텔 낸드 사업부의 매출이 추가되면 5~6조 정도의 매출이 추가될 전망. 인텔의 낸드사업부 인수는 하이닉스의 외형에도 도움이 되지만, 오랫동안 구축되어 온 6자 경쟁구도가 축소되는 결과 기대. 금번인수로 단기간에 8조원을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디램 투자도 축소될 것으로 기대되면서 디램 경쟁 완화에도 도움될 전망.

     

    6.    #이엠텍 : 일본에서 글로프로슬림 오프라인 판매 예정. 국내에서는 릴솔리드 2.0 이원화 공급 등으로 신규 증설을 통한 매출 증가 기대. 뇌파측정, 관리 기기는 식약처인증을 17일에 받고 FDA인증은 내년 3월 기대. FDA 인증 경쟁사가 1곳 밖에 없기 때문에 인증시 매출 확대 기대.

     

    7.    #엠로 : 국내 1위의 공급망 관리회사. 공급망 관리 솔루션은 구축형과 클라우드 서비스 형식 2가지 인데, 구축형은 맞춤형 구축으로 용역비와 라이선스 비용이 일회성으로 청구되고 이후 16개월 이후부터 매년 기술료 수취. 클라우드 방식은 매월 구독료로 청구. 현재 공급망 관리 솔루션 고도화를 위해서 AI 시스템 적용.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 발주 등을 AI 시스템을 이용해서 최적해 해주는 방식. 기술 관건은 AI로 카테고리 비매칭 등의 정보를 최소화하는 것과 소요에 대한 예측 시스템.

     

    8.    #컴투스 : 아티스트 컴퍼니 인수 51%를 인수하면서 경영권을 모두 가지고옴. 아티스트 컴퍼니는 국내에서 배우 중심으로 구성된 연예기획사 동시에 오리지널 작품 제작사. 24일 넷플릭스 공개 예정인 고요의 바다 제작. 메타버스 플랫폼인 컴투버스는 내년 하반기 오피스월드 상용화 이후 엔터테인먼트 월드로 확장 예정. P2E 게임은 내년 상반기에 서머너즈워 크로니클을 P2E 방식으로 출시.

     

    9.    #바이오 : 현재 승인을 받은 CAR-T 치료제는 노바티스의 킴리아, 예스카다, 테카두스, 브래얀지 등으로 후속 약물로 갈수록 효능과 안정성이 높아짐. 최근 나오는 약물은 100%에 가까운 반응률이 나오고 있음. JW테라퓨틱스의 카테이바, 노바티스의 PHE885는 재발/불응성 소포림프종과 다발성골수종환자 대상 100% 반응률 달성. 카테이바는 완전관해율이 92.65에 달할 정도록 높았음. 존슨앤존슨의 실타-셀도 반응률 97%, 완전관해 80%로 높은 수치 기록. CRS와 신경독성문제도 상당부분 극복해 나가고 있음. 아직까지 생산문제는 넘어야할 산이 많지만 최근 노바티스의 T-체인지 플랫폼은 생산이 2일이내로 단축되어 향후 생산성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전망. T세포 증식이 환자 체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시간 단축 및 적은 용량으로 투약 가능해짐.

     

    10. #컴투스홀딩스 : 가상화폐와 NFT 관련하여 동사의 100% 자회사인 컴투스플러스가 코인원 지분의 38%정도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최근 22%정도를 양도 받아 직접 보유. 코인원은 동사의 지분법 대상 법인. 동사는 지주회사이나 공정거래법상 지주사 분류가 되지 않아서 자회사 지분 보유한도 규제에서 벗어남. 자체 코인인 C2X를 발행할 예정이며, ICO도 진행. 내년 1분기 P2E 게임 출시이전 발행 예정. 컴투스가 유통시키는 게임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인. 게임 유통 플랫폼 자회사인 하이브를 이용하여 자사 게임 이외에도 다양한 게임을 C2X 베이스로 출시 전망.

     

    11.  #카카오게임즈 : 업비트 운영업체인 두나무의 지분을 카카오가 7.7%, 케이큐브벤처투자조합 11.1% 보유하고 있음. 카카오의 증손자 회사인 클레이튼이(카카오게임의 손자회사) 발행한 클레이 코인은 코인원과 빗썸에 상장되어 있고, 카카오게임즈의 자회사가 웨이투빗을 합병하면서 보유한 보라코인은 업비트, 빗썸, 코인원에 상장되어 있음. 향후 프렌즈게임즈에서 NFT기반의 P2E 게임 출시 예정. 동시에 NFT 거래소 사업 준비.

     

    12.  #석유화학 : 중국 환경 규제에도 일부 제품 자급율 확대. 주로 PPPVC에서 상향되는 모습을 19년까지 보였으나, 올해부터는 PE 등에서도 자급율이 상승하고 있음. 석화 신규 투자를 통해서 다운스트림 투자 확대. 25년까지 아시아 지역의 주요 설비 증설이 중국에 몰려있음. 향후 중국 증설에 따른 석화업종 물량 부담 심화

     

    13.  #에너지 : 러시아는 야말 가스라인에서 독일만 공급을 중단함. 유럽가스가격이 최고치 경신함. 폴란드 등에는 정상공급. 가스흐름은 재개 되었지만 노드스트림 2승인이 지연되고 우크라이나 긴장속에 올 겨울 유럽 가스 대란 현실화 우려.

     

    14.  #IT

     

    -      삼성 #갤럭21FE 22111일 공개. 애플 아이폰13을 인도에서 시범 생산 예정. 삼성이 중국에 ODM 물량 확대. 내년 윙텍만 4000만대 생산 예정.

    -      CJ대한통운은 물류센터에 스마트풀필먼트 가동. 이를 위해서 무인운송로봇 128대 투입. 이송, 분류, 포장에 자동화된 첨단공간 구현

    -      CES에서 삼성전자는 QD-OLED, LG전자는 초대형 OLED 등 공개 예정. 제일 기대되는 부분은 로봇과 AI 부분.

    -      애플카 조기 출시 소식에 관련 기업들 강세. 출처는 대만. 내년 9월 출시 전망. 실제는 대만이 애플 생태계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 다만, 내년 상반기 애플이 핸드셋 예상 출하량을 높게 잡고 있고, 하반기에는 XR 기기 출시 예정.

     

    15.  #바이오뉴스

    -      신라젠 개선 계획서 제출. 내년 1월에 상폐 결정. 118

    -      셀트리온 렉키로나 유럽에서 본격적인 판매에 진입

     

    16.  #경제

    -      세계 최대 FTARCEP가 내년 2월 발효 예정. 15개국 관세 인한 일본과 FTA90% 관세가 철폐되거나 인하됨.

    -      내년 중국 주도의 RCEP 발효에 맞서서 미국은 IPEF 설정. 한국은 IPEF 참여 검토.

    728x90
    반응형

    '일일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227 오늘의주식공부  (0) 2021.12.27
    20211224 오늘의주식공부  (0) 2021.12.25
    20211222 오늘의주식공부  (0) 2021.12.22
    20211221 오늘의주식공부  (0) 2021.12.21
    20211220 오늘의주식공부  (1) 2021.12.2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