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0103 오늘의주식공부일일공부 2022. 1. 3. 15:53728x90반응형
본 자료는 투자권유 목적으로 제작된 자료가 아니며, 제작자 소속회사의 의견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으로 투자의사결정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 하에 결정되어야 합니다. 본 자료의 제작자는 본 영상의 내용과 관련하여 선행매매금지, 미공개중요정보 이용금지, 불공정거래(시세조종, 부정거래행위, 시장질서교란행위, 단기매매차익거래) 금지 등 자본시장법을 포함한 금융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1. #비트나인 : 관계형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 보유 기업. 기존에는 IBM이나 오라클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며, 최근 국내 기업들이 점차 국내 기술 도입을 진행하고 있음. 관계형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원자료들을 보다 시각적으로 보여주면서 마케팅 활동 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보다 직관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됨.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구축시 필요한 빠른 그래프 형성, 데이터의 분리/병합에서의 수월성 등이 중요함. 비트나인은 점차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해서 이러한 부분에서 장점을 보여주고 있음.
2. #이차전지
- 노스볼트가 스웨덴 공장에서 이차전지 생산에 성공함. 21년말 양산체제 구축이라는 목표를 성공.
- 미국 에너지부는 25년까지 테슬라의 기가팩토리를 제외한 13개의 이차전지 공장이 증설될 것이라고 발표.
- 삼성SDI는 볼보에 이차전지 셀과 모듈을 모두 판매. 셀은 직접 제조하며, 모듈은 세방전지에서 위탁생산예정.
- 코리아써키트는 음극재와 분리막 기업에 투자검토.
- 인도네시아 니켈 수출 금지. 인도네시아 니켈 매장량은 글로벌 1위로 최근 흑연 부족과 함께 전기차 출하 차질 가능성 있음.
3. #반도체
- 중국정부가 전력반도체 웨이퍼에 붙는 관세를 10%에서 5%로 절반 낮추기로함. 가격 하락을 통해서 시장선점 계획.
- TSMC 3나노 생산이 내년 4분기말로 연기. 삼성전자는 상반기 양산 예정이라서 경쟁력이 있을 듯.
- 심텍의 신공장이 내년 5~6월에 가동 예정.
- SMIC 화웨이 매각 추진. 화웨이가 인수하게 되면 기존에 정체된 자체 반도체 개발 사업이 본격화될 전망.
- SK하이닉스가 인텔에서 인수한 낸드 사업부분은 나스닥에 바로 상장진행. 사명은 솔리다임으로 전적으로 미국 독립 법인으로 사업 진행 예정.
- 마이크론도 중국 시안 봉쇄로 자사의 디램 공급이 차질이 있을 것이라고 발표함.
4. #마인즈랩 : 종합인공지능 서비스 기업. 종합 서비스는 AI 알고리즘과 구현을 위한 엔진, 플랫폼, 개별 고객 맞춤 서비스를 총괄하여 모두 가능한 기업을 의미. 인공지능 컨택센터와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등의 서비스 매출이 대부분의 매출을 차지하고 있음. 실생활에서는 AI경비원이나 AI 컨텍센터, AI 돌보미 서비스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방송 등에는 AI아나운서를 제작하여 방송송출하고 있음. 신한은행 AI 직원을 동사가 제작하였으며, 기기 앞에 고객이 앉으면 가상 은행원이 고객의 업무처리를 도와주고 있음.
5. #롯데정보통신 : 가장 큰 매출은 그룹사 시스템구축 부분. 신규 성장 동령으로 전기차 충전과 지능형 교통시스템 등에 투자하고 하고 있음. 국내 전기차 2위 사업자인 중앙제어 지분을 인수하여 완급속, 초급속 충전기 기술 확보. VR 부분에서는 칼리버스를 인수하여 이미지보정기술과 초고화질 VR 제작 기술을 보유한 기업. 해당 기술은 CES 2022 에서 시현될 예정. 해당 기술을 이용해서 버추얼스토어를 제작하거나 가상 모델하우스, VR 홈쇼핑 등의 컨텐츠를 제작하여 계열사에 활용할 예정
6. #삼성SDS : 올해 12월에 동탄에 6번째 데이터센터 건설 예정. HPC기반의 데이터센터로 주문형서비스와 사용량 과금 진행 예정. HPC는 국내에서 인공지능이나 반도체 설계에 사용되고 있음. 현재 4조원이 넘는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투자 대상을 확보하여 인수/합병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클라우드, 물류, 보안 분야에서 인수/합병 전망.
7. #전기차
- 현대차 대형 GV90 SUV 전기모델로 23년부터 양산 예정.
- 제네시스 GV70 환경부 인증 완료. 22년 상반기 출시 예정
- GM CES2022에 얼티움 기반의 실버라도 공개
- 폭스바겐은 포르쉐 투자금 확보를 위해서 상장 검토
- 다임러는 벤츠에 5년간 전동화를 위한 70조 투자
- BMW i7공개 120kwh 규모 배터리로 주행거리 700km 목표로 출시
- 니오는 150kwh 규모 배터리로 주행거리 100km 목표의 차량 공개
- 수소전기트럭인 엑시언트는 쿠팡, 글로비스, 대한통운에서 시범 운영예정.
- 중국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축소 예정. 연말에는 완전히 보조금이 없이 판매.
8. 정유 : 중국은 수규모 티팟의 원유수입쿼터를 축소하여 전반적으로 석유제품 생산을 축소할 전망. 아시아 지역의 석유제품 가격 안정 전망. 멕시코는 22년 21년 대비 원유 수출을 절반수준으로 축소할 계획. 23년부터는 아에 수출 자체를 중단. 이 같은 요인은 멕시코 원유 수입과 석유제품 판매를 진행하는 기업들에게 부담이 될 전망. 이를 기회로 사우디는 OSP를 인상했으며, 상대적으로 S-oil을 제외한 다른 기업들의 원유 수입 부담. 석유제품 판매처 확보 난항 전망. 다만, 향후 이란의 원유 수출이 재개되면 원유 수입 부담은 줄어들 수 있음.
9. #철강
- 포스코는 냉연도금재 출하가격 5만원 인하
- 현대제철은 고철가 인하반영, 철근 가격 4000원 인하.
10. #현대위아 : 현대차 전동화 및 e-VTOL 관련 부품 생산 전망. 전동화 부분은 기존 외주사들이 담당하던 열관리 시스템 및 각종 부품의 생산을 동사가 담당할 전망. 동시에 비행체 관련 부분은 ADEX 2021에서 이미 개발된 부분에 대해서 공개.
11. #친환경 : 유럽에서 1월 2일에 원자력과 가스를 친환경 발전으로 인정한다는 합의가 공개됨. 독일의 반대가 있어서 원안대로 지속될지는 의문이지만, 현재까지 논의는 방사능 폐기물의 저장 계획. 자금, 장소가 마련된 원전에 대해서 45년까지 건축허가를 얻은 경우 친환경 발전으로 인정. 가스는 kWh당 270g 이하의 탄소를 배출하고 기존 석탄 발전소를 대체하는 프로젝트 중에서 30년까지 건축허가 획득, 35년까지 저탄소 발전 전환 계획을 모두 보유해야함. 내년 1월 정식 발표 이전까지 문제 제기가 가능하고 원전의 방사능 폐기물 처리 방안 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야 하는 만큼 통과가 된다고 해도 사업성이 충분히 있는 프로젝트가 될 수 있는 케이스가 많지 않을 듯. 국내에서도 녹색분류체계를 발표했음. 녹색/전환 두가지 부분으로 분류되며, 녹색은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 순환경제, 오염, 생물 다양성 등을 준비하는 사업이며, 전환부분은 혼합가스와 LNG 부분의 에너지 생산, 블루수소제조, 친환경선박 및 운송 등의 사업. 구체적인 사업으로 ESS, CCS 등이 포함됨. 원자력은 유럽의 분류체계가 확정되고 나면 국내에서도 친환경 인정 여부가 갈릴 듯(22년 1월 발표 예정)
728x90반응형'일일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일정 (0) 2022.01.04 20220104 오늘의주식공부 (0) 2022.01.04 20220103 오늘의주식공부 (0) 2022.01.03 20211230 오늘의주식공부 (1) 2021.12.30 20211229 오늘의주식공부 (0) 2021.12.29